▲가계신용통계
가계신용통계는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규모를 나타내는 통계이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 뿐 아니라 정부, 판매회사 등기타기관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관련 신용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된다. 현재 가계신용통계는 2002년 말 잔액부터 분기별로 제공되고 있다.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가계처분가능소득
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돼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 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된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가계의 구매력을 가장 정확히 가늠해 볼 수 있는 소득지표이다.
▲가교은행
청산대상 금융기관의 자산,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예금, 출금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합병, 채권채무관계조정 등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은행을 말한다. 금융기관이 파산한 경우 예금보험제도는 청산, 매각, 자산부채승계,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의 수단을 통해 부실 금융기관을 처리한다. 이 중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방식은 파산은행의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사용되며 새로운 은행을 설립하여 자산, 부채를 포괄승계하도록 하고, 인수희망자를 물색하는 등의조치를 취하게 된다. 가교은행을 이용한 처리방식은 금융기관 파산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시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임무를 마치면 정리대상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없어지는 한시적기관이다.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갑기금(Capital A), 거시건전성 정책, 거액결제시스템 (0) | 2024.02.10 |
---|---|
[5] 간접세/직접세, 감독자협의회, 감응도계수 (0) | 2024.02.10 |
[4] 가상통화, 가상통화공개(ICO), 간접금융/직접금융 (0) | 2024.02.10 |
[3] 가동률, 가변예치의무제도, 가산금리 (2) | 2024.02.10 |
[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계수지, 가계순저축률 (1) | 2024.02.10 |
댓글